경북도 '문화외교·저출생·철강위기' 'APEC부터 산업위기 대응' 총력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5-08-28본문
‘K-철강’ 위기, 녹색 전환으로 극복 경북도, 8대 혁신 전략 발표
경북·돗토리현, 저출생 극복 위해 지자체 최초 국제 공동행보
포항,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마련
경북도가 문화외교, 인구정책, 산업구조 전환 등 전방위 현안 대응에 나섰다.
경북도는 28일 APEC 문화산업고위급대화 환송 만찬을 성황리에 마무리했으며 일본 돗토리현과 저출생 극복 국제공동포럼을 열고, 포항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본격적인 위기 극복에 시동을 걸었다.
27일 열린 ‘2025 APEC 문화산업고위급대화’ 환송 만찬에서 경북도와 경주시는 K-컬처의 원류이자 문화유산 도시로서의 위상을 세계에 각인시켰다.
만찬에서는 경북 전통주 시음, 금박 공예품 ‘선각단화쌍조문금박’ 전시, 태권도 공연, 전통 도자기 활용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가 대표단의 오감을 사로잡았다.
특히, 성덕대왕신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대형 종의 장엄한 울림으로 시작된 본 행사와 스틸아트 기념패, 한복 운영요원, 박대성 화백의 판화 증정 등은 경북의 전통과 첨단기술, 예술이 조화를 이루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철우 도지사는 “경주에서 최초로 열린 APEC 문화산업 고위급대화는 K-컬처 세계화를 위한 큰 의미를 지닌다”고 했고, 주낙영 시장은 “경주를 국제 문화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
안동에서는 ‘경북도·돗토리현 저출생 극복 국제공동포럼’이 개최돼 한일 지방정부 간 인구위기 공동 대응의 첫 물꼬를 텄다.
20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포럼은 정책 공유, 기조발제, 사례 발표, 전문가 토론으로 구성됐으며, 경북의 ‘아이천국 두레마을’, 돗토리현의 보육·의료 정책 등이 소개됐다.
이철우 도지사는 “양 지역이 전략과 경험을 정례적으로 공유해 인구 위기 극복의 성공모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으며 포럼은 내년 일본 돗토리현에서 후속 개최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포항시를 2년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공식 지정했다.
이는 글로벌 철강 공급 과잉, 미국 관세 부과 등 대외 여건 악화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철강산업에 대한 첫 위기 대응 조치로서 포항은 철강 부가가치 비중이 제조업의 7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철강 의존도가 높다.
이에 따라, 긴급 자금 지원, 대출 만기 연장, 보조금 우대, 이차보전 등 다양한 정책금융과 기업 맞춤형 지원이 본격 시행된다.
철강기업의 법인세 납부액 감소와 소비심리 위축 등 경제 전반 위기 대응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부산에서는 UNIDO가 주최한 ‘저탄소 철강 글로벌 지식교류회’에서 경북도가 철강 위기 극복을 위한 3대 분야, 8대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핵심 전략은 ▲K-스틸 특별법 제정 ▲수소환원제철(HyREX) 실증 지원 ▲녹색철강 펀드 조성 ▲전기요금 차등제 도입 ▲HVDC 해저 전력망 구축 등이다.
양금희 경제부지사는 “국가와 지방, 민간이 함께하는 맞춤 해법이 필요하다”며 “현장 중심 전략으로 글로벌 철강 강국의 미래를 열겠다”고 밝혔다.
APEC 문화산업고위급대화는 불국사, 국립경주박물관 등 주요 관광지 탐방을 끝으로 마무리되며 저출생 공동포럼은 내년 돗토리현에서 후속 회의 예정이며 포항시는 산업위기 대응을 위한 세부 지원책을 산업부·KIAT 등과 함께 구체화할 계획이다.
한편 경북도는 탄소중립, 수소환원제철, 분산에너지특구 등의 추진으로 철강산업 장기 생존전략을 병행하며 이번 주 문화, 인구, 산업 등 3대 분야에서 국제무대와 협력, 위기 대응을 동시에 추진하며 지역 재도약의 신호탄을 쐈다.
아울러 문화 외교의 전진기지로 경주를, 인구 정책의 선도 모델로 안동을, 산업 위기 대응의 테스트베드로 포항을 각각 부각시키며 국가 정책 연계의 모범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